반응형
핵심 내용:
1월 미국 CPI 전년 동기 대비 3.1% 상승 (전문가 예상치 2.9%)
전월 대비 0.3% 상승 (예상치 0.2%)
근원 CPI 전년 동기 대비 3.9% 상승 (예상치 3.7%)
주거비 상승률 0.6% (전월 대비 최대 상승률, 전체 상승분의 3분의 2 차지)
휘발유 가격 하락
시장 반응:
금리 인하 시점 밀려남 (5월 인하 확률 61.9%, 6월 인하 확률 74%)
뉴욕증시 주요 지수 하락 (다우 500포인트 이상 하락, S&P 500 5000선 아래로 하락)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최고치인 4.315%까지 상승
향후 전망:
2월 29일 발표될 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관심 집중
PCE 물가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 (CPI 대비)
주요 글로벌 소비자 기업들은 올해 물가 압력 완화 전망
주의할 점:
1월 CPI 데이터는 인플레이션 둔화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음
금리 인상 시점 논의 재점화 가능성
향후 PCE 데이터 등을 통해 경제 상황 및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명확한 전망 가능
참고:
블룸버그 통신: "연준의 조만간 금리 인하 가능성 낮아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인플레이션 2% 목표 달성 순조롭지 않을 것으로 예상"
찰스 슈왑: "주거비 하락 추세 지켜봐야 함"
모건스탠리 이-트레이드: "장기 냉각 인플레이션 추세 여전히 유효"
기타:
이번 데이터는 미국 경제 및 금리 정책에 대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반응형
'뉴스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맨시티와 레알 마드리드, UCL 챔피언스리그 16강 1차전 승리 (0) | 2024.02.14 |
---|---|
백승호, 버밍엄시티 입단 후 첫 승리에 기여 2연패 탈출 (0) | 2024.02.14 |
8일 국내증시 코스피, 코스닥 시황 요약 저PBR주 2차전지주 강세 (0) | 2024.02.08 |
클린스만 감독 경질 논란 요약 위약금 100억원 이상 8강 탈락이면 위약금 없었다. (2) | 2024.02.08 |
[오피셜] 제시 린가드, FC 서울 입단 확정 주요 내용 요약 K리그 역사상 최고 빅네임 "중심에 서고 싶다" (0) | 2024.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