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분석

ETF (상장지수펀드 : Exchange Traded Fund) - 뜻, 특징, 펀드와 차이점, 종류, 세금, 용어 총 정리

by 짱구의 인사이트 2022. 3. 1.
반응형

안녕하세요 망고입니다.

이번에는 ETF (상장지수펀드 : Exchange Traded Fund) - 뜻, 특징, 펀드와 차이점, 종류, 세금, 용어 총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TF란 특정자산가격의 움직임에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상품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있으며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펀드이고 주식과 인덱스펀드의 장점이 결합된 상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ETF의 특징으로는 환금성, 분산투자, 저투자 비용, 운용의 투명성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선택하여 원하는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ETF와 인덱스펀드의 차이점은 투자타이밍여부, 운용보수여부, 환매수수료여부, 신용거래여부, 대주거래여부의 차이점이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위 내용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ETF의 종류는 국내지수/해외지수를 기초로 하는 지수추종 ETF, 특정 업종 및 산업을 기초로 하는 업종/섹터추종 ETF, 금속, 곡물 등 상품을 기초로 하는 상품추종 ETF, 기초자산을 2배(레버리지) 또는 역(인버스)으로 추적하는 파생 ETF 이렇게 4가지 종류의 ETF 상품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ETF의 세금은 원천징수로 공제하며 기타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대상에 포함됩니다.

국내주식형 ETF의 분배금 그 외 ETF의 분배금 및 매매차익/과표차익 중 작은 금액이며 국내주식형 ETF는 매매 시 비용이 비과세로 적용됩니다.

ETF 용어 내용 정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NAV(Net Asset Value : 순자산가치)

ETF가 편입하고 있는 주식, 현금, 배당, 이자소득 등을 포함한 ETF 자체의 자산가치(이론가치)

CU(Creating Unit : 설정단위)

ETF에서 설정과 해지가 이루어지는 최소 단위

PDF(Portfolio Deposit File : 납부자산구성내역)

ETF 포트폴리오의 단위인 1CU의 구성내역, ETF발행사 홈페이지를 통해 일일 공표

괴리율

ETF의 시장가격과 NAV(순자산가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

AP(Authorized Participants : 지정참가회사)

ETF의 설정과 해지요청을 대행하는 증권사

LP(Liquidity Provider : 유동성공급자)

지정참가회사(AP) 중 ETF의 시장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겸하는 증권사 시장에서 형성되는 ETF가격에서 일정 범위 호가 내에 매수/매도물량을 공급

추적오차율(Tracking Error)

추종대상 지수와 ETF와의 수익률간 차


이렇게 ETF의 개념에 대해 총 정리를 해보았는데요 펀드와의 차이점 등 ETF만의 특징이 따로 있기 때문에 자세히 공부하셔서 좋은 상품에 잘 투자하시길 바라며 해당 내용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