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망고입니다.
이번에는 카카오 국내주식 분석 전망, 주가, 실적, 재무제표, 배당금, 목표주가, 플랫폼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 소개
국내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과 인터넷 포털 사이트 다음(Daum)를 비롯해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커머스, 모빌리티, 금융, 게임, 음악, 스토리IP를 주축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연결기준 사업부문은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사업분야
먼저 플랫폼 부문은 카카오톡의 강력한 소셜네트워크를 레버리지하여 다양한 비즈니스파트너들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하고 있는 <톡비즈>, 다음(Daum)포털의 충성도 높은 사용자와 트래픽을 통해 창출하는 온라인 광고 부문이 주영역인 <포털비즈> 그리고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비롯한 연결종속회사들이 전개하는 미래 성장동력이 되어줄 <플랫폼 기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어서 콘텐츠 부문은 PC와 모바일을 넘나들며 채널링과 퍼블리싱에 이어 개발영역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한 <게임>, 국내 최대 규모의 유료가입자 기반을 확보한 음악플랫폼 멜론(Melon)과 음원/음반 유통부문을 포함하는 <뮤직>, 경쟁력 있는 스토리 IP를 발굴하고 국내를 비롯한 글로벌 무대에서 이용자 저변을 빠르게 키워가고 있는 <스토리> 그리고 아티스트IP를 활용한 매니지먼트 사업과 영상콘텐츠 제작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미디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실적과 재무제표
카카오의 분기실적을 살펴보면 2019년 대비 2배 이상의 매출 상승을 이뤄내고 있으며 주당순이익은 4배 이상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분기실적의 모습입니다 변동성은 있으나 계속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매출이익률은 2018년 대비 2.5배의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영업이익률은 25배 상승, 순이익 또한 크게 성장해주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로나의 수혜를 받으면서 성장을 이어왔는데요 현재는 다시금 정상적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해짐에 따라 카카오 기업의 매출 영향력을 향후 5년 간은 지켜봐야지만 이 성장세가 일시적이었는지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는 기업인지 판가름 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랫폼 사업을 주로 하는 기업이다보니 인건비와 같은 비용을 제외하면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사업을 이끌어가야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부채의 비율은 31%로 매우 낮은 편이며 장기부채비율은 17%로 매우 낮은 편에 속합니다 이는 해당 기업의 사업분야에 대한 강점으로 가지고 갈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되네요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상승세도 매우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카카오는 성장주로 그와 같은 현금흐름표를 꾸준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를 매우 공격적으로 하고 있는데요 해당 기업의 성장성을 의심하진 않지만 현재 많은 계열사들이 분산되어 상장이 되어 있는 상태로 이는 카카오 주식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행위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좋다고 해도 그만큼의 가치 평가를 받지는 못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됩니다.
카카오의 연간 per은 13.01배, 주당순이익은 5,551원으로 나오고 있는데요 해당 기업은 항상 당기순이익이 영업이익보다 높게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사업으로 인한 이익보다는 다른 쪽에서 발생하는 이익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지표는 건전하지 못한 상태로 per이 측정되고 있기에 참고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어서 주가의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 주가
카카오의 주가 흐름을 살펴보면 현재 2020년 11월 주가로 회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전에 얼마만큼 광기의 장이었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차트의 모습입니다.
카카오의 실적이 잘나오기는 했었으나 이미 per은 일회성 당기순이익으로 인해 일시적인 지표의 모습을 보여주며 자칫 잘못하면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보여졌을텐데요 이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현재 주가차트에 고스란히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카카오의 주가 차트는 -38%의 수익률을 보여주면서 계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성장주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굉장히 심한 모습인데요 이는 적정 주가가 어느정도이며 향후 목표주가는 어느정도로 계산이 되는지는 이어서 투자의견 정리를 할 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 배당금
<배당정책 - 현금배당>
당사는 정관에 의거하여 이사회 및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사업 경쟁력 강화와 함께 주주환원을 통하여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며 기존에는 약 100억원 정도의 현금배당을 실시했었으며, 2022년 2월 도입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서 전년도주당배당금 이상을 유지하는 수준의 별도 FCF의 5%이상을 배당재원에 활용할 계획이며, 2021년 경영성과에 대해서는 주당 53원(액면가100원 기준)으로 약 230억원의 배당금총액을 배당했습니다.
향후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와 경영환경 및 재무건전성비율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전략적으로 배당정책을 변경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당사는 2022년 2월 이사회를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총 주주환원 기간은 3개년으로 2021년 ~2023년 사업연도에 대한 각각 연간 별도기준 잉여현금흐름(FCF)의 15~30%를 주주환원할 계획입니다.
* FCF = 영업활동현금흐름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선수금, 미지급금) - CAPEX
주주환원 방법은 배당과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입니다.
① 현금배당 : 별도 FCF의 5% 이상 (단, 전년도 주당배당금 이상을 유지)
②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 : 별도 FCF의 10% ~ 25% 이상
현재 12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해주고 있으나 배당수익률은 0.1%로 거의 주주친화정책이 없이 흘러왔다고 보는 것이 좋고 중장기 계획대로 지급이 될지는 2023년이 되면 답이 나올 것으로 보여집니다.
투자의견 정리
- 분석 기업 :
카카오
- 적정 주가 & 목표 주가 :
주당순자산 26,994원 x 자기자본이익률 17.49% 계산해보면 주당순이익 4,721원으로 나오고 있으며 현재 기준 EPS보다 더 낮게 나오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주당순이익 4,721원 x 자기자본이익률 17.49% x 100으로 계산한 적정 주가는 82,500원으로 나오고 있음 이는 현재 주가가 기업의 자산과 이익률 대비 낮은 주가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는 계산 결과가 나옴 이를 토대로 성장률을 고려한 향후 3~5년 뒤 목표주가는 96,900원을 제시해봅니다.
- 매력도 :
성장성 : ★★★☆☆
수익성 : ★★★★☆
안정성 : ★★★☆☆
배당매력 : ★☆☆☆☆
주가매력 : ★★★☆☆
- 종합의견 :
매수(3.2점/5점) - 성장성과 사업 아이템의 수익성은 매우 긍정적인 측면으로 보고 있으며 성장률도 꽤나 괜찮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표를 토대로 계산한 적정주가 또한 현재 주가의 흐름보다 높게 나오고 있기 때문에 매력적으로 볼 수 있는 주가의 흐름으로 성장성을 이어갈 경우를 바탕으로 매수 의견 제시
단, 현재 증시의 흐름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시장의 소음도 파악하면서 매수 고민을 해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계산대로 적용되지 않는 것이 주가이기 때문에 많은 고민을 하고 결정했으면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주식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 국내주식 분석 전망, 주가와 재무제표 (0) | 2022.09.22 |
---|---|
국내 SOL 미국S&P500 ETF 분석, 국내 최초 월배당 주가는? (0) | 2022.09.21 |
LX인터내셔널 국내주식 분석 전망, 주가와 재무제표 (1) | 2022.09.19 |
현대로템 국내주식 분석 전망, 주가와 재무제표 (2) | 2022.09.18 |
포스코인터내셔널 국내주식 분석 전망, 주가와 재무제표 (0) | 2022.09.17 |
댓글